나무의사 양성과정

-
나무의사 제도란?
전문적인 수목진료체계 구축을 위해 ‘나무의사’ 국가자격제도를 도입하였으며
, 2018년 6월 28일부터 시행하였습니다. -
나무의사란?
수목의 피해를 진단·처방하고 그 피해를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나무 전문 의사
(산림보호법 제21조의 6제1항에 따라 나무의사 자격증을 발급받은 사람) -
나무의사가 되려면?
나무의사 양성기관에서 교육을 이수한 후 산림청장이 시행하는
나무의사 자격시험에 합격하여야 함
충북산림환경연구소 나무의사 양성과정
교육대상
나무의사 양성기관에서 교육을 이수한 후 산림청장이 시행하는 나무의사 자격시험에 합격하여야 함
교육생 선별방법
모집인원 이상 신청 시, 추첨을 통하여 선발
강조교육생 추첨은 추첨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정하게 진행합니다
교육비
1,120,000원(160시간, 전과목 수강시)
나무의사 교육과정
분야 | 교 과 목 | 교육내용 | 시간 | 구분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강의 | 실습 | 필수 | 선택 | |||
수목분류 | 수목학 | 수목의 종류 및 분류, 수목의 조직 및 기관의 구조와 기능 | 12 | 4 | 선택됨O | |
생리ㆍ생태 | 수목생리학 | 수목의 번식, 생육 중 빛ㆍ온도ㆍ수분 등 외부 환경의 영향과 체내 반응 | 10 | 2 | 선택됨O | |
산림생태학 | 산림 내 수목과 물리ㆍ화학적 요인들 간의 관계 | 8 | 2 | 선택됨O | ||
토양 | 토양학 | 토양의 구조와 기능, 토양조사, 토양진단 및 개량, 비료의 종류 및 사용, 수목영양 진단 | 12 | 4 | 선택됨O | |
피해관리 | 수목병리학 | 병원체의 종류 및 특성, 주요 수목병의 발생 특성ㆍ진단 및 방제 | 15 | 4 | 선택됨O | |
수목해충학 | 곤충의 종류 및 특성, 주요 수목해충의 발생 특성ㆍ진단 및 방제 | 15 | 4 | 선택됨O | ||
비생물적 피해론 | 비생물적 피해의 종류ㆍ발생 특성ㆍ진단 및 조치 | 12 | 4 | 선택됨O | ||
수목관리학 | 수목선정 및 식재, 가지치기ㆍ충전ㆍ쇠조임 등 유지관리, 위험수목의 관리 및 제거, 외과수술, 체인톱 등 산림기계 사용법 | 12 | 4 | 선택됨O | ||
농약 | 농약학 | 농약의 작용기작, 종류와 사용법 | 10 | 2 | 선택됨O | |
기상 | 산림기상학 | 기상자료 판독, 기상측정 기구 및 사용법, 기후변화 및 이상기상현상의 이해 | 8 | 2 | 선택됨O | |
정책 및 법규 | 정책 및 법규 | 산림보호정책, 수목진료 관련 법규, 외국의 관련 제도 및 법규 | 4 | 선택됨O | ||
소양교육 | 소양교육 | 양성기관별 선택교육 (자료 관리 및 분석, CAD, GIS, 계약관련 법률, 안전교육 등) | 10 | 선택됨O | ||
계 | 12과목 | 128 | 32 | 130 | 30 |
- 1 필수과목(130시간)을 포함하여 총 150시간 이상의 교육을 수강한 경우에만 교육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한다.
- 2 교과목별 교육 시간의 80% 이상 출석한 경우에만 해당 교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한다.
-
3
2018년 6월 27일 이전에 다음 각 목의 자격을 취득한 자에 대해서는 2023년 6월 27일까지 다음 구분에 따라 해당 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본다.
- 가. 「국가기술자격법」에 따른 식물보호기사ㆍ산업기사: 농약학
- 나. 「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법률」에 따른 문화재수리기술자(식물보호 분야): 수목생리학, 토양학
- 다. 「자격기본법」에 따라 국가공인을 받은 수목보호 관련 민간자격으로서 「자격기본법」 제17조제2항에 따라 등록한 기술자격: 수목생리학, 수목병리학, 수목해충학
강조충북산림환경연구소 나무의사 교육시간은 총 160시간입니다. 자세한 내용은 모집공고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